탄소전쟁 - 저자 박호정
= 탄소 배출권 거래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책으로, 탄소 배출권 거래제가 무엇인지 전혀 모르는 입장에서
이해하기 좋은 책인 것 같다.
1장. 기후변화의 충격
- 기후변화는 사회, 경제, 환경 등 엄청난 범위의 분야에 악영향을 주고 있음.
2장. 기후변화 회의론의 반격과 피로현상
- 기후변화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고 사람들이 가상적으로 만든 개념이라는 회의론의 내용을 말하고 있으며, 피로현상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너무 자주 듣게되다보니 말그대로 피로해져 오히려 더욱 관심이 없어졌다는 기후변화 현상을 대하는 두 문제점들에 대한 설명을 다루고 있다.
3장. 기후변화의 경제학
- 기후변화와 관련 오류에 대한 이야기를 설명하고 있다. 제 1종의 오류인 알파는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후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채택하지 않는 오류를 말하며, 제 2종의 오류인 베타는 기후변화가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있다고 믿고 있다는 오류를 말한다.
통계학에서의 가설테스팅의 Type1과 Type2 error에 대한 내용이다.
4장. 에너지 시장의 지각변동
- 석유 등 에너지 시장의 변동의 케이스를 설명.
5장. 탄소 전쟁의 서막
- 중국은 7개 지역에서 탄소 배출권 거래제가 실시되고 있으며, 미국도 서부 및 동부 모두 지역적으로 탄소 배출권 거래제가 실시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탄소 배출권 거래제에 대한 투자를 높이려는 의지가 매우 강하다.
6장. 탄소 가격의 실현
- 탄소 배출권에서의 가격 설정은 굉장히 중요하다. 너무 높거나 낮으면 거래량이 미미해지거나 탄소 방출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들이 없어질 것이기 때문임.
7장. 더 나은 제도를 위하여
- 탄소 배출권 거래제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넛지를 적절하게 이용해야 한다는 것.
* 넛지: 강압적인 방법보다는 간접적이고 부드러운 방법을 통해 의도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
8장. 탄소사다리 걷어차기
- 감축목표를 과도하고 욕심에 앞선 목표보다는 현실적이고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것. 즉 과유불급.
* 개인적인 findings
1. 미국과 캐나다의 대기오염 배출에 대한 갈등의 케이스. 현재 한국도 중국으로부터 오는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환경 갈등이 있는 점과 유사함.
2. 우리나라는 미국 및 중국과 달리 내부시장이 작기 때문에 활발한 탄소 배출권 거래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국제적 연계가 필수적이다.
'My Growth with Green Grow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를 시작하며.. (3) | 2017.10.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