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 Emission Trading Scheme (KETS) 사진출처: http://www.hankookilbo.com/v/d7f2c169f86e40f98f5edb2eee62106a 한국의 탄소배출권 거래제 (Korea Emission Trading Scheme, KETS)는 국가적인 수준에서 2015년 1월 1일에 공식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약 525개의 가장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회사들로 선정하였으며, 이는 국가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68%를 차지하는 회사들이었습니다. 한국은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자발적 공약)인 Business-As-Usual (BAU,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대비 37% 감축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채택되어 실행되어 왔습니다. 참고로 한국의 2020년의 온실가스 감축 .. 더보기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청정개발체제) 사진출처 : http://www.greenafricadirectory.org/reeep-scales-up-clean-energy-projects-in-africa/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청정개발체제)는 1997년 12월에 채택된 교토의정서로부터 나오는 내용입니다. CDM은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대한 지원이나 기술 이전 등으로도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가 가능하도록 생긴 제도입니다. 2005년 2월에 정식 발효가 되었으며, 배출권거래제도(Emission Trading Scheme, ETS)와 동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JI)와 함께 교토의정서 제 12조에 규정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분야에 속한 프로젝트를 C.. 더보기
Emission Trading Scheme (ETS, 탄소배출권거래제) 사진 출처 : http://www.tradenewswire.net/shipping-not-belong-eu-emission-trading-scheme/ 기후변화의 주원인인 탄소를 줄이기 위한 정책 중 하나로, 탄소배출권거래제 (Emission Trading Scheme, ETS)가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위의 그림처럼 각 국가에서 먼저 탄소배출한계량을 정하고나서, 각 정부에서는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거래제를 적용한 뒤, 어떤 해당 기업이 배출한계치를 초과하게 되면 초과한 양을 적게 배출한 다른 회사로부터 그 잉여분을 돈을 주고 구매하여 목표치에 달성하는 거래시스템입니다. 이러한 거래시스템은 국내내에서의 거래뿐만 아니라, 국외의 기업과 정부와도 거래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발생.. 더보기
Key achievements from COP23 (COP23 결과) 사진 출처 : https://www.opencanada.org/features/bonn-climate-conference-key-issues-cop23/ 이번 독일 본에서 개최되었던 COP23이 막을 내렸습니다. 제가 이전에 소개드렸던 피지의 COP23 홈페이지에서 COP23에서 얻은 결과물들을 소개하는 글이 포스팅되어 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1. 2018 Talanoa Dialogue : 이번 COP23에서 국가들과 비국가집단(Non-state actors)들이 2020년 이전 액션의 감축에 대한 자발적 공약을 포함한 최적의 선행 케이스들과 이야기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참여적인 과정을 발표하였음. 이번 과정으로 세계 온도 상승률 1.5도 이하로의 유지에 대한 파리 기후협약의 목표 달성에 더욱 .. 더보기
Nationally Appropriate Mitigation Action (NAMA) Nationally Appropriate Mitigation Action (NAMA)는 국가들의 자발적인 자발적 감축 행동을 의미합니다. 물론 이는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본 내용에 기초하지만 각 나라별로 그 국가의 상황과 환경에 따라 다른 감축 책임량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NAMA는 방출량을 줄이기 위해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들에게 원조를 하는 것도 그에 포함이 됩니다. UNFCCC에서는 NAMA를 2가지의 맥락으로 나누어 정의하고 있습니다. 1. 국가적인 레벨(National level)로, 공식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기로 한 국가들은 그들의 국가적 개발 목표에 동일 선상에 그들의 역량에 비례하여 감축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2. 개인 행동 레벨(Individual action level)로, 국가적 개.. 더보기
COP23 요즘 진행중인 COP23에 대해서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COP23의 공식사이트는 피지정부와 독일정부에서 각각 운영 중이지만, 해당 포스팅은 피지가 의장국이므로, 피지의 공식사이트를 참고했습니다. The 23rd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23)은 피지가 의장국이지만, 회의 장소는 피지가 아닌 독일 본에서 2017년 11월 6일부터 17일까지 열립니다. 그 이유는 인프라 문제 등의 현실적인 문제들 때문에 UNFCCC의 본부가 있는 독일 본에서 열리는 것입니다. 이와 비슷하게 두 번 열렸던 COP6도 서둘러 준비하기 위해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적이 있습니다. 이번 COP23에서도 2020년에 만료되는 교토프로토콜과 2015년에 논의되었던 파리기후협정의 내용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더보기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라는 뜻하는 Conference of the Parties는 약자로 COP라고 불리며, 매년 1회 당사국 국가들이 돌아가며 개최하고 있습니다. COP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장기적인 피해를 막기 위하여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채택한 기후변화협약이 담고 있는 이산화탄소, 탄산가스, 메탄가스, 프레온가스 등 온실가스의 방출을 제한하는 수준 결정과 그에 대한 약속을 하기 위한 회의입니다. COP1(제1회 당사국 총회)는 1995년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역대 COP 정리표 순번 년도 COP 개최지 비고 1 1995 COP1 독일, 베를린 2 1996 COP2 스위스, 제네바 3 1997 COP3 일본, 교토 4 1998 COP4 아르헨티나, 부에로스아이레스 5 1999 CO.. 더보기
기후변화 관련 주요 협약 시간에 따른 기후변화 관련 주요 협약 요약입니다. 1. 몬트리올 의정서 (The Montreal Protocol) - 채택 날짜 : 1987년 9월 - 공식 발효 : 1989년 1월 - 가입국 : 초기 46개국에서 현재는 약 200여 개국이 가입함. - 주요 내용 : 1) 1970년 네덜란드 과학자 Crutzen이 질소 산화물들이 성층권 오존을 파괴하여 오존층 파괴로 인한 인체 및 동식물에게 피해를 준다는 것을 입증하여 주목받기 시작하며 프레온가스(CFCs)나 할론 등의 물질 사용금지 및 규제를 하기로 함. 2) 한국은 1992년 2월에 본 의정서에 가입. 2. 교토 의정서 (The Kyoto Protocol, COP3) - 채택 날짜 : 1997년 12년 - 공식 발효 : 2005년 2월 6일 (개발도.. 더보기
기후변화 관련 기본 단어 기후변화에 관련된 내용을 접할 때, 자주 보게 되는 단어들이므로 미리 알아두고 이해하고 있으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생태계 (Ecosystem) : 식물들, 동물들, 그리고 그 외의 유기체들의 자연의 커뮤니티와 그들이 살면서 상호작용 하는 물리적 환경을 말함. 2. 서식지 (Habitat) : 식물 또는 동물이 사는 환경에서의 장소를 말함. 3. 대기 (Atmosphere) :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들의 혼합물을 뜻함. 4. 기상 (Weather) : 특정 지역과 시간의 대기의 현재 상태를 말함. 일부 기상의 특징으로는 온도, 습도, 강수량, 구름의 양, 바람, 대기압 등이 있음. 기상 상태는 일시적이며 자주 변함. 5. 강수량 (Precipitation) : 비,.. 더보기